현재 태풍 마이삭이 제주도를 근접했다고 합니다.
제9호 태풍 '마이삭'이 서귀포에 근접하면서 제주도 전 해상에 태풍특보가 발효됐습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태풍 '마이삭'은 2일 오전 6시 현재 중심기압 940헥토파스칼(hPa), 중심 최대풍속 초속 47m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서귀포 남쪽 약 410㎞ 해상에서 시속 16㎞로 북북동진해
오후 9시께 서귀포 동쪽 약 150㎞ 해상을 통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태풍의 중심기압은 940hPa, 강풍반경은 370㎞이고 최대풍속은 매우 강한 수준인 초속 47m입니다.
마이삭은 이날 저녁 제주도 동쪽 해상을 지나 하루 뒤인 3일 새벽 경남 거제와 부산 사이 지점에서 상륙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후 영남지역과 동해안 인근 도시들을 관통해 같은 날 오전 중 동해 중부 해상으로 빠져나갈 전망입니다.
태풍의 세기는 이날 오전까지 매우 강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오후 들어 초속 40m 전후의 강한 수준으로 다소 완화할 것으로 예상되나
내륙에 상륙해 지나가는 만큼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수 있습니다.
태풍 마이삭으로 인한 예상 강수량은 강원 영동·경북 동해안·경남·전라 동부·제주도·울릉도·독도 100∼300㎜입니다.
특히 강원 동해안·경상 동해안·제주도 산지에는 400㎜가 넘는 비가 쏟아질 전망입니다.
예상 최대순간풍속은 제주도와 경상 해안 시속 108∼180㎞(초속 30∼50m), 강원 영동·남부지방(경상 해안과 전북 서부 제외) 시속 72∼144㎞(초속 20∼40m), 그 밖의 지방 시속 36∼108㎞(초속 10∼30m)입니다.
바람의 세기가 초속 40m가 넘으면 사람은 물론 큰 바위도 날려버리고 달리는 차도 뒤집어놓을 수 있습니다.
태풍이 서귀포 해상에 들어서면서 제주도 전 해상과 남해 먼바다에 태풍 특보가 내려졌습니다.
제주도와 남해안에는 최대순간풍속 시속 70㎞(초속 20m) 내외의 강한 바람이 부는 곳이 있고 태풍이 올라오면서 바람은 더 강해질 예정입니다.
주요 지점의 최대순간풍속은 제주 윗세오름 시속 79㎞, 전남 신안군 가거도 76㎞, 전남 여수시 거문도 67㎞, 제주 새별오름 67㎞ 등입니다.
일부 경기도, 강원도와 경상도, 전라도는 이날 중, 서울 전역을 비롯한 나머지 지역은 3일 새벽께 태풍특보가 발효될 예정입니다.
일부 경상 내륙에는 호우주의보가 내려졌고 시간당 30㎜ 이상의 강한 비가 내리는 곳이 있습니다. 그 밖의 지역에는 약한 비가 오거나 산발적으로 빗방울이 떨어진다고 합니다.
이날 오전 0∼7시 주요 지점의 강수량은 경기 연천군 중면 79.5㎜, 경남 김해시 진영읍 52.5㎜, 강원 철원군 외촌리 37.0㎜, 김해공항 36.5㎜ 등입니다.
기상청은 3일까지 전국이 태풍의 영향권에 들어 매우 강한 바람이 불고 매우 많은 비가 내리니 시설물 관리와 안전사고에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강조했습니다.
산림청은 산사태예방지원본부를 중심으로 산사태 예보와 호우 상황에 따라 선제적 주민 대피와 산사태 피해 때 응급복구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기상청 관계자는 "2∼3일 동해안에는 폭풍해일로 인해 매우 높은 파도가 방파제나 해안도로로 범람할 수 있어 해안가 저지대 침수피해와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마이삭’은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나무의 한 종류입니다.
현재 우리지역은 태풍영향으로 하늘이 흐리고 바람도 불며 비가 계속 오고 있습니다.
내일 새벽쯤 저희 지역을 지나갈것 같은데..
다가올 마이삭 태풍으로 인해 미리 대비해야 할것 같습니다.
태풍 대비방법
1. 태풍의 진로 및 도달 시간을 파악해서 어떻게 대피할지를 생각합니다.
・ TV,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등으로 기상상황을 미리 파악하여 어떻게 할지를 준비합니다.
・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안전디딤돌)을 통해 재난정보를 파악하여 주변 사람들과 공유합니다.
2. 산간 · 계곡, 하천, 방파제 등 위험지역에서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산간 · 계곡, 하천, 방파제 등에서 야영이나 물놀이를 멈추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 함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저지대나 상습 침수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지하 공간이나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 · 건물 등에서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주택이나 차량, 시설물 등의 보호를 위해 가족이나 지역주민과 함께 준비합니다.
・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은 미리 결박하고, 창문은 창틀에 단단하게 테이프 등으로 고정합니다.
・ 하천이나 해변, 저지대에 주차된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가족과 함께 가정의 하수구나 집 주변의 배수구를 미리 점검하고 막힌 곳은 뚫습니다.
・ 침수가 예상되는 아파트 지하주차장, 건물 등은 모래주머니, 물막이 판 등을 이용하여 침수를 예방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 시설하우스 등 농업 시설물은 버팀목이나 비닐 끈 등으로 단단히 묶고, 농경지는 배수로를 정비하여 피해를 예방합니다.
・ 선박이나 어망 · 어구 등은 미리 결박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합니다.
・ 지역 주민과 함께 공사장, 축대, 옹벽 등을 미리 점검합니다.
4.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준비하여 재난에 대비합니다.
・ 비상시 신속한 대피를 위해 응급용품은 미리 배낭 등에 넣어둡니다.
・ 상수도 공급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욕실 등에 미리 물을 받아둡니다.
・ 정전에 대비하여 비상용 랜턴, 양초, 배터리 등을 미리 준비해 둡니다.
・ 긴급 상황에 따른 정보 수신을 위해 스마트폰에 안전디딤돌 앱을 설치하고,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등과의 긴급 연락망을 확인합니다.
5. 외출은 자제하고 연세 많은 어르신 등은 수시로 안부를 확인합니다.
・ 약속된 일정은 취소하거나 조정하여 외출을 자제하고, 주변에 정보를 알려 줍니다.
・ 연세 많은 어르신, 어린이, 장애인 등은 외출을 하지 않도록 당부하고 수시로 전화 등을 통해 안부를 확인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