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생활정보, 소통해요!

코로나에 이어 한타바이러스 까지 !!(백신 맞은 병사 사망!!!)

by 뉴랄프 2020. 8. 26.
반응형

강원도 철원의 육군 병사가 제초작업 후 고열 증세를 보이다 사망했습니다. 군 당국은 해당 병사가 한타바이러스감염증인 신증후성출혈열(HFRS)에 걸렸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5일 육군에 따르면 6사단 소속 A일병은 지난 11∼12일 부대에서 제초작업을 하고 1주일 뒤인 19일쯤 체온이 40도를 넘는 고열 증상을 보였다고 합니다.

A일병은 지난 21일 국군포천병원으로 이송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았지만 음성으로 나왔다. 한타바이러스감염증 검사에서는 양성이 나왔습니다.


A일병은 증세가 악화돼 경기도 성남 분당서울대병원으로 이송됐지만 지난 23일 숨졌습니다. 사후 진단검사에서도 한타바이러스 양성 반응이 나왔습니다.

육군 관계자는 “전방부대 병사들에게는 한타바이러스감염증 예방 백신을 접종한다”면서 “A일병도 백신을 접종받았지만 한타바이러스감염증에 의한 패혈증 쇼크가 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한타바이러스는 설치류에 의해 전파되며 풀밭 등 야외에서 활동하는 군인이나 농부들이 주로 감염됩니다. 호흡기를 통해서는 전염되지 않고 주로 배설물과 혈액으로 숙주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염되면 고열과 출혈, 신장 손상 등이 생깁니다.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풀밭 등 야외활동을 할 경우 장화나 바지, 긴 상의를 착용하고 들쥐 배설물 등의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한타바이러스 

저한테는 생소한 바이러스인데요..

예전부터 발병이 되었다고 하네요.

한타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설치류를 숙주로 감염시키지만 설치류에게는 질병을 유발하지 않는다. 인간은 설치류의 소변, 침, 대변을 통해 한타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다. 한타바이러스의 몇몇 종은 인간에게서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이외의 종은 질병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타바이러스라는 이름은 최초로 질병이 발병한 한국의 한탄강에서 유래 되었으며 1976년 대한민국의 이호왕 박사에 의해 등줄쥐 폐조직 최초로 분리되었다.

한타바이러스는 Bunyaviridae의 Hantavirus 속에 속하는 바이러스입니다.

역학 및 감염경로

한타바이러스 속의 바이러스는 각각의 종마다 고유한 야생 설치류를 자연계의 숙주로 삼고 있다. 동아시아와 유럽에서 주로 발견되고 신증후출혈열을 발생시키는 구대륙 한타바이러스와 달리 북미와 남미에서는 치사율이 35% 이상으로 훨씬 높은 한타바이러스 폐증후군을 일으키는 신대륙 한타바이러스가 발견되고 있다. 신증후출혈열은 늦은 봄과 가을의 건조한 기후 때 호흡기를 통해 사람에게 전파되며 주로 농부, 군인 및 야외에서 일하는 20∼50대 청장년층에서 주로 발생하며, 한국에서는 매년 300~600명의 환자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한타바이러스는 자연계 숙주동물에서는 특별한 병을 일으키지 않는다. 바이러스는 설치류의 소변, 대변 및 타액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며, 주로 쥐의 배설물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

한타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되는 신증후출혈열 (유행성출혈열)은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며 치사율이 높고 (1~15%) 바이러스는 발병 초기에만 혈액에서 검출된다. 유행성출혈열의 잠복 기간은 9~35일 가량 되며, 고열, 구토, 복통이 나타난다. 임상적 특징에 따라 발열기, 저혈압기, 핍뇨기, 이뇨기, 회복기로 나누어지며 2∼3개월 이내에 모든 기능이 점차 정상으로 회복된다. 미국과 남미에서 발생하는 한타바이러스 폐증후군은 매우 높은 치사율을 보이며 (35~50%) 발열, 두통, 피로감, 기침 등의 증상 후에 호흡 곤란, 폐부종과 쇼크로 인하여 사망하는 것이 특징이다.

진단, 예방 및 치료

한타바이러스의 혈청학적 진단법은 간접면역형광항체법 (IFA, ELISA)및 중화항체 검사법을 이용한 항체검사법이 있으며 RT-PCR을 이용한 분자진단법으로 환자 혈액이나 조직에서 한타바이러스의 유전자를 검출할 수도 있다. 바이러스의 분리에는 Vero E6 세포주를 가장 많이 이용한다. 최근에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을 이용한 조기 진단법이 연구되고 있다.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 갈 때에는 들쥐와 접촉을 피해야 하며 예방 접종을 받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방백신은 국내에서는 한탄바이러스 불활화 백신인 한타박스가 시판되고 있고 중국에서도 불활화 백신이 시판되고 있다. 예방백신은 1개월 간격으로 2 회 피하에 접종하고 매년 추가 접종한다. 그러나 미국, 캐나다 및 남미의 한타바이러스에 대한 백신과 치료제는 현재까지 개발되지 못했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코나니에 이어 한타 바이러스 까지

요새 조용할 날이 없네요..

이름도도 생소한 한타바이러스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풀밭 등 야외활동을 할 경우 장화나 바지, 긴 상의를 착용하고 들쥐 배설물 등의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여러분도 항상 건강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