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생활정보, 소통해요!

아프리카 돼지열병 확산(돼지고기 먹어도 안전할까?)

by 뉴랄프 2019. 9. 28.
반응형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확산이 되고 있습니다. 돼지고기 안전하게 먹어도 될까?사람에게는 감염이 되지 않을까?여러가지

걱정이 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돼지 열병이 우리나라 파주시에서 최초로 발견이 되었는데 .파주시에 이어 연천군에서도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발생 확인이 되었다고 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 18일 연천군 의심 돼지의 시료를 채취해 정밀 검사한 결과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확진했다고 18일일 밝혔습니다.

이로서 국내에서는 아프리카돼지 열병이 두건이 발생 되었는데요.

아프리카 돼지 열병은 현재 중국의 31개 성 직할시,자치구에 모두 번진 상태입니다.

중국에서는 지난해 8월에 북한과 경계를 접한 랴오닝 성에서 아프리카 돼지 열병이 처음 발병했습니다.

 

<아프리카 돼지열병이란>

아프리카돼지열병

요약 바이러스성 출혈 돼지 전염병으로, 주로 감염된 돼지의 분비물 등에 의해 직접 전파된다. 돼지과(Suidae)에 속하는 동물에만 감염되며 치사율이 거의 100%에 이르기 때문에, 한번 발생할 경우 양돈 산업에 엄청난 피해를 끼친다.

이병률(감염된 동물의 비율)이 높고 고병원성 바이러스에 전염될 경우 치사율이 거의 100%에 이르는 바이러스성 출혈 돼지전염병으로, '돼지 흑사병'으로도 불린다. 아프리카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였기 때문에 아프리카돼지열병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질병을 가축전염병예방법상 제1종 법정전염병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ASF는 주로 감염된 돼지의 분비물(눈물, 침, 분변 등) 등에 의해 직접 전파되는데, 잠복 기간은 약 4∼19일이다. 다만 ASF는 인체에는 영향이 없고 다른 동물에도 전염되지 않으며, 돼지와 야생멧돼지 등 돼지과 동물에만 감염된다. 이 병에 걸린 돼지는 고열(40.5~42℃), 식욕부진, 기립불능, 구토, 피부 출혈 증상 등을 보이다가 보통 10일 이내에 폐사한다. 이 질병이 발생하면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발생 사실을 즉시 보고해야 하며, 돼지와 관련된 국제교역도 즉시 중단된다.


ASF 바이러스 특징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는 환경에 강해서 생존력이 높은 것은 물론 전염성도 강하다. 이 바이러스는 돼지가 죽은 후에도 혈액과 조직에서 계속 살아 있을 수 있는데, 실온의 분변이나 오줌 중에 5일 이상, 냉장상태 오줌에서는 15일까지 생존 가능하다. 혈액의 경우 냉장에서는 1년 반~6년, 실온에서는 1개월 생존이 가능하다. 또 냉장육에서는 15주, 냉보관된 가염건조된 햄에서는 140일까지 생존이 가능하며, 냉동된 사체에서는 수년 동안 생존할 수 있다. 

또 산과 열에도 강해 낮은 요리 온도에서 죽지 않기 때문에
(60°C 이상에 30분 이상 있어야 파괴)  훈제되거나 공기 건조된 식육 산물에 들어있는 바이러스 전파가 가능하다. 이 때문에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감염된 지역의 돼지 또는 그것으로 만들어진 식품을 반입하거나 가열되지 않은 음식물을 돼지에 급여하는 것은 이 질병이 유입되는 원인이 된다. 

한편, ASF 바
이러스는 병원성에 따라 보통 고병원성, 중병원성, 저병원성으로 분류된다. 고병원성은 보통 심급성(감염 1~4일 후 돼지가 죽음) 및 급성형(감염 3~8일 후 돼지가 죽음) 질병을, 중병원성 균주는 급성(감염 11~15일 후 돼지가 죽음) 및 아급성(감염 20일 후 돼지가 죽음)형 질병을 일으킨다. 저병원성은 풍토병화된 지역에서만 보고돼 있으며, 준임상형 또는 만성형 질병을 일으킨다. 폐사율은 고병원성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거의 100%이며 만성형에서는 20% 이하로 알려져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의 전파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사람이나 다른 동물은 감염되지 않고 돼지과(Suidae)에 속하는 동물에만 감염된다. 자연숙주는 사육돼지와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의 야생멧돼지로, 특히 아프리카 지역의 야생돼지인 혹멧돼지(Warthog), 숲돼지(Giant Forest Hog) 등은 감염이 돼도 임상 증상이 없어 이 바이러스의 보균 숙주 역할을 한다. 여기에 물렁진드기(Ornithodoros spp)가 이 바이러스를 보균하고 있다가 돼지 등을 물어서 질병을 확산시키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직접전파

감염된 동물이 건강한 동물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데, 이는 ▷감염성이 있는 침 호흡기 분비물 오줌과 분변에 바이러스가 대량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 돼지가 죽은 후에도 혈액과 조직에 바이러스가 존속할 수 있기 때문에 감염동물의 조직을 포함하고 있는 열처리하지 않은 잔반을 돼지에 급여하면 신속하게 전파된다.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는 사람이나 다른 동물은 감염되지않고 돼지과에 속하는 동물에만 감염이 된다고 합니다.

은근 걱정도 하긴 했었지만..그래도 약간은 찝찝하긴 저도선 어쩔수가 없는 부분이었으나..다행이 사람에겐 감염이 되지 않는다고해서 안심이긴 합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경기 파주에서 발생한 17일 오전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정부세종청사에서 긴급 브리핑을 하였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부는 이날 ASF 위기경보 단계를 최고수준인 ‘심각’ 단계로 격상하고 검역본부 역학조사반을 투입해 정확한 발생원인을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행히 ASF 발생농장 반경 3km 내에는 다른 양돈농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축산농가와 도축장 등 관련시설은 내‧외부 및 출입차량을 소독하고 ASF 의심 증상 발생 시 신속히 검역본부, 지자체 등에 신고해 달라”며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인수공통전염병이 아니며 (감염된 돼지가)시중에 유통되지 않으므로 국민이 안심하고 국산 돼지고기를 소비해도 된다”고 당부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인수공통전염병이 아니며 (감염된 돼지가)시중에 유통되지 않으므로 국민이 안심하고 국산 돼지고기를 소비해도 된다고 뉴스에 보도되었습니다.

그러나.

아프리카 열병으로 인해 돼지고기 가격이 인상이 될듯 합니다.

그렇다고 안먹을수도 없고,당분간 사태를 파악하며.닭고기로 대처를 해야하는건지.

일단 지켜보도록 해야할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